본문 바로가기

아이 교육/독서교육

(5)
꾸준한 독서에도 독해력이 늘지 않는 이유(꼼꼼하게 읽기)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독서를 지도해 오고 있지만 좀처럼 독해력이 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요?그 이유는 읽기 전에 독서를 준비하는 활동과 읽기 후의 토의, 토론, 감상문 쓰기 등과 같은 활동을 많이 하면서 실제 학생들이 읽은 시간을 충분히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많은 전문가들이 제시하고 있습니다.읽기 후에 많이 하는 자유로운 감상문 쓰기, 토의, 토론 활동은 생각을 확장하는 데 도움이 되지만 책의 내용을 깊게 이해하는 데에는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등장하게 된 것이 바로 꼼꼼하게 읽기입니다. 자세히 읽기, 분석적 읽기라고 하기도 합니다.꼼꼼하게 읽기는 미국의 국가교육과정에 구체적으로 반영된 읽기 전략으로 그간의 독서교육에 대한 비판적인 검토 과정에서 등장한 읽기 방법입니다. 꼼꼼하게 읽..
문해력 향상을 위한 그림책 읽어주는 방법 그림책은 아이에게 최초의 독서 경험을 제공하고, 읽어주는 부모와 듣는 아이의 정서적 교감을 돕습니다.서양에서는 오래전부터 잠자리에 들기 전 아이에게 책을 읽어주는 문화가 있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책 읽기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그림책은 구성이 다르기 때문에 일반 책 읽어주기와는 다른 방식의 접근이 필요합니다. 1. 그림책 읽어주기의 원칙1) 천천히, 정확한 발음으로 읽어주기 2) 자연스럽게, 글자 그대로 읽어주기구연(목소리 연기, 역종적인 몸짓)은 아이가 글보다 연행에 집중하게 된다고 합니다. 또한 읽는 사람이 글을 구어체로 바꾸거나 없는 말을 첨가해서 아이에게 혼란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3) 그림도 함께 읽어줍니다.그림책의 그림은 글과 대등하거나, 그림이 글을 이끌며 적극적으로 서사에 개..
"넌 어떻게 생각하니?" 열린 대화의 중요성 책을 읽고 아이의 대화적 문해력을 기르는 탁월한 방법 중 하나는 책 대화하기입니다.책 대화하기의 효과가 궁금하다면 그림책 작가 이수지 님(한국인 최초 안데르센상 수상자)의 강연 '아이에게 책을 주고 싶은 진짜 이유' 영상을 한 번 보시기 바랍니다. https://youtu.be/J5zzjuVxaCA?si=O8mbav9wycs-IHua  책 대화하기는 "주인공의 이름은 무엇일까요?"와 같이 정답과 오답이 있는 평가용 질문과 대답 과정이 아닙니다.책 대화하기는 아이와 부모가 동등한 위치에서 개방적이고, 인지적으로 도전적인 질문과 답을 하는 것입니다.그렇다면 책 대화하기는 어떻게 하는 걸까요? 다음과 같은 전략이 있습니다. 1. 읽기 전 대화 전략아이의 경험, 배경지식을 활성화함으로써 책과의 연결고리를 형성하..
올바른 받아쓰기 지도 방법 받아쓰기는 아이의 듣기 능력, 쓰기 능력, 문법(맞춤법) 능력까지 길러줄 수 있는 통합적 언어 활동입니다.언어적인 측면에서는 음소 및 음절 변별 능력이 향상되고, 한글 맞춤법의 원리를 습득하고, 표기 능력이 향상될 수 있지요.이렇게 좋은 언어 학습 방법을 왜 초등학교 입학 초기에 하면 안될까요?받아쓰기의 올바른 지도 방법은 무엇일까요?  받아쓰기를 초등 입학 초기에 하면 안되는 이유받아쓰기는 맞춤법 학습에 더 가깝습니다.한글을 배우기 시작하는 단계에서는 맞춤법보다는 단어의 의미를 이해하고, 어떤 상황에 사용되는지를 배우는게 중요한데요. 맞춤법 위주의 학습이 이루어지면 한글에 대한 흥미가 떨어지게 되는 역효과가 나타나겠지요.그렇다면 올바른 받아쓰기 지도 방법은 무엇일까요?  올바른 받아쓰기 지도 방법1. ..
독서와 글쓰기의 힘 저는 전형적인 이과생으로 학창 시절에 수학은 좋아했으나 국어, 영어, 역사 과목은 정말 쥐약이었습니다. 특히 언어영역은 도대체 공부를 어떻게 해야 되는지도 모르겠고, 학원을 다녀도 실력은 늘지 않았습니다. 수능 모의고사를 보면 잘 받으면 3등급, 못 받을 때는 5등급까지도 받아본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 말인데 왜 이렇게 어려운 것인지, 긴 지문을 읽다 보면 정신은 아득해지고... 안드로메다로 갔다가 다시 정신 차리고 읽다 보면 안드로메다로 가는 걸 반복했습니다. 그러다 보면 문제를 푼 건지 찍은 건지도 헷갈리는 상태로 마침 종이 울립니다. 중학교 때까지만 해도 공부하면 성적은 곧잘 나왔는데, 고등학교에 가니 이건 암만 공부해도 왜 성적이 안나오는건지 이해를 할 수 없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나는 언어영역은..